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심층 분석: 에이브(Aave)와 컴파운드(Compound)
지금까지 우리는 디파이(DeFi)의 핵심인 탈중앙화 거래소(DEX)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했습니다. 하지만 디파이 생태계는 단순히 코인을 교환하는 것을 넘어, 전통 금융이 제공하는 거의 모든 서비스를 블록체인 위에서 구현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DEX와 함께 디파이의 양대 산맥을 이루는 분야가 바로 '랜딩(Lending)', 즉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 입니다. 은행 없이 개인 간에 코인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세상. 상상만으로도 흥미롭지 않나요? 이 혁신의 중심에는 디파이 랜딩 시장을 개척하고 이끌어온 두 거인, 에이브(Aave) 와 컴파운드(Compound) 가 있습니다. 이 두 프로토콜은 코인 투자자들이 자신의 자산을 활용해 추가 수익을 얻거나, 코인을 팔지 않고도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강력한 금융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디파이 랜딩이 어떻게 작동하며, 에이브와 컴파운드는 각각 어떤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은행 예대마진을 코드로 구현하다: 디파이 랜딩의 작동 원리 은행이 고객의 예금을 받아 다른 고객에게 대출해주고 그 이자 차이(예대마진)로 수익을 내는 것처럼, 디파이 랜딩 프로토콜도 비슷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하지만 모든 과정에서 은행이라는 중개인이 사라지고, 스마트 컨트랙트가 그 역할을 대신합니다. - 공급자 (Lender / Supplier) 자신이 보유한 코인을 프로토콜에 예치(공급)하고 그 대가로 이자를 받는 사용자입니다. 은행에 예금하는 것과 같습니다. 공급자가 코인을 예치하면, 그들은 예치한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하는 'aToken'(에이브의 경우)이나 'cToken'(컴파운드의 경우)을 받게 됩니다. 이 토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자가 붙어 자동으로 가치가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 차용자 (Borrower) 자신이 보유한 다른 코인을 담보로 맡기고, 원하는...